case/system 디렉토리에 blockMeshDict 파일을 생성한다.
case 디렉토리 command 라인에서 blockMesh를 실행한다.
** blockMesh는 OpenFOAM 컴파일 후 생성되는 실행화일로, "/home/hp-z8/OpenFOAM/OpenFOAM-5.x/platforms/linux64GccDPInt32Opt/bin/"에 위치한다.
*** 참고로, blockMesh의 위치는 아래와 같이 which 명령어로 확인 가능하다.
hp-z8@HP-Z8:~$ which blockMesh
/home/hp-z8/OpenFOAM/OpenFOAM-5.x/platforms/linux64GccDPInt32Opt/bin/blockMesh
**** blockMesh는 하위디렉토리의 system 디렉토리에서 blockMeshDict, controlDict 파일을 참조하여 아래와 같이 mesh를 생성한다.
--> 따라서, OpenFOAM사용시는 case디렉토리에서 blockMesh를 실행하며, CFDEM실행시에는 case/CFD디렉토리에서 실행하여야 한다.
- case/constant 디렉토리 아래 polyMesh디렉토리가 생성된다.
- 생성된 polyMesh 디렉토리안에 생기는 파일들이다.
case 디렉토리에서 생성된 mesh를 Paraview로 읽어들이기 위한 .foam 파일을 만든다.
Paraview에서 example.foam 파일을 읽어들인다. SolidColor-Wirefram을 선택하면 polyMesh가 나타난다.
'OpenFOAM' 카테고리의 다른 글
OpenFOAM의 기본 구조 및 실행순서 (1) | 2023.12.26 |
---|---|
Update-alternatives (Ubuntu Package Version 관리, GCC) (1) | 2023.08.14 |
GCC Version (0) | 2023.08.13 |
CFD-DEM (0) | 2023.08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