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Python

VSCODE-Python 기본환경 설정

가끔 쓰니 자꾸 까먹어서 좋지 않다. 기록을 남기는 습관을 들이자.

 

1. 폴더(디렉토리를 만든다)

Git-Hub Desktop을 이용해서 Repository를 만드는 것을 추천

 

2. Git-Hub에 Publish를 하자 (클라우드와 연동시작)

3. 연동해서 VSCODE실행 또는

Open in Visual Studio Code

3. VSCODE에서 File-Open Folder

 

4. VSCODE에서 File-New File (확장자는 .py)

 

5. 터미널에서 파이썬 가상환경 만들기

python -m venv venv

승락하자. 안그러면 컴퓨터가 나를 때릴 것 같다.

하위 디렉토리로 가상환경을 설정할 "venv"라는 이름의 디렉토리가 생성된다.

 

5. VSCODE에서 터미널을 닫고

6. VSCODE-Terminal-New Terminal

7. Prompt에 (venv)가 붙어서 가상환경에서 실행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.

8. 이제, 코딩에 필요한 모듈을 설치한다. conda, Pychram등이 있으나, 기본에 충실한 pip를 사용

pip install numpy

가끔, pip를 업데이트를 하라는 메세지가 나오면 해주어도 좋다.

이제, 모듈은 가상환경에서만 설치되어 그 안에서 코딩을 진행하면 된다.

 

9. Coding을 시작 예를 들어,

import numpy as np

 

10. Git-Hub Desktop에 변경사항이 뜨며, push를 하면 클라우드로 올라간다. 이때, 가상환경의 파일까지 전부 올리면 용량이 초과될 수 있으므로, Repository-Repository settings-Ignored files에서 ven를 넣으면 제외된다.

 

즐거운 코딩생활.

'Python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Console 같은자리 출력 방법  (0) 2023.04.13
외부 모듈 변경사항 반영방법  (0) 2023.01.03